개념정리 (30)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술면접 대비] 2. JS/HTML/CSS [HTML] 1. HTML 이란? html은 마크업 언어이다. 여는 태그, 내용, 닫는 태그를 통틀어 html 요소(element)라 이른다. element가 가지는 속성은 attribute라 한다. attribute에는 class, id, type, disabled 등이 있다. HTML5의 표준 html 구조는 다음과 같다. I am a HTML document 은 문서의 형식을 나타낸다. 마크업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브라우저에게 렌더링 모드를 알려줌. 최근에는 크게 유의미하게 사용되지는 않으며, 대신 http 헤더의 Content-Type에 문서 타입을 정의한다. 전체 페이지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가장 기본 요소 이용자에게 직접적으로 표시되지 않아도 검색 키워드, 홈페이지에 대한 설명, css 스타일 등.. [기술면접 대비] 1. 웹/브라우저 1. 브라우저가 렌더링 되는 과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 중에서도 주소창에 사용자가 특정 URL를 입력한다. DNS 서비스를 통해 주소가 IP로 바뀌고, 해당 서버의 자원을 요청한다. 서버에서 제공하는 여러 자원 중 html 및 css문서는 브라우저의 렌더링 엔진을 통해 렌더링이 된다. html 파서와 css 파서가 각각 DOM트리와 SSOM트리를 만들고, 화면에 보여지는 요소들만으로 렌더 트리를 구축하고 배치한 뒤 그리기 시작한다. 크롬(28버전 이전)과 사파리는 웹킷 엔진을 사용하고 파이어폭스는 게코 엔진을 사용한다. 현재 크롬은 웹킷을 기반으로 구글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블링크 엔진을 사용한다. 이러한 과정은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모든 문서의 파싱이 다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먼저 파싱이 된 것들에.. [네트워크] 06. HTTP 프로토콜 (7계층) 06. HTTP 프로토콜 [HTTP 프로토콜 특징]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 www에서 쓰이는 핵심 프로토콜 - 오늘날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MIME으로 정의해 전송하며 많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 클라이언트/서버모델로 Request/Response 동작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 - Connectionless (비연결성) 요청-응답 후 연결을 끊음. 연결을 유지하느라 트래픽을 점유하지 않음. - Stateless(무상태) 이전 상태를 유지하지 않음. 전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쿠키, 세션 등과 같은 기술이 필요 [HTTP 1.1발전과정] - HTTP 1.0 의 통신부하 문제를 보완한 버전. 기존 T.. [네트워크] 05. NAT와 포트포워딩 05. NAT와 포트포워딩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IP 패킷의 TCP/UDP 포트번호와 IP주소를 재기록하며 라우터를 통해 통신 하는 기술 - 사설 IP 주소와 공인 IP주소를 변환하는 데에 사용하기도 함(사설 대역의 IP가 공인 IP로 바껴서 나감) [포트 포워딩] - Port forwarding - 특정 IP주소와 포트번호의 통신 요청을 라우터나 방화벽 등의 3계층 네트워크 장비에서 다른 IP와 포트번호로 변환해 넘겨주는 기술 - NAT의 응용 - 사설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호스트(서버) 등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 - 통신 방법 예시 (사설 대역에 있는 서버에 접근) (1) 클라이언트는 상대의 사설대역을 모르니 목적지의 네트워크 장비(공유기)의 공인.. [네트워크] 04-03. TCP 프로토콜 04-03. TCP 프로토콜 [기능]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 없는 연결을 지향 - UDP보다 안전하지만 느림 [구조] 1 2 3 4 Byte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4 Sequence Number 8 Acknowledgment Number 12 Offset Reserved TCP Flags Window 16 Checksum Urgent Pointer 20 TCP Option (개당 4byte) 24~ - 20 바이트+α (옵션에 따라) - Source Port : 출발지 포트번호 - 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번호 - Sequence Number : 패킷의 순서번호 (패킷.. [네트워크] 04-2. UDP 프로토콜 04-2. UDP 프로토콜 [기능] - User Datagram Protocol, 사용자 데이터 프로토콜 (혹은 Universal Datagram Protocol ) - 단순하고 신뢰성이 낮음 - 안전한 연결을 지향하지 않음 : 데이터의 도착 순서 변동, 중복, 누락 등이 발생 - 오류 검사나 수정이 필요 없는 프로그램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 [구조] 1 2 3 4 Byte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4 Length Checksum 8 - 8 바이트 - Source Port : 출발지 포트 - Destination Port : 도착지 포트 - Length : (UDP 헤더 + payload) 길이 - Checksum : 헤더 오류확인 [대표적인 프로그램] 1. DNS 서버 - .. [자료구조] Heap 10.27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네트워크] 04. OSI 7 Layer - 4계층 Transport 04. 4계층 Transport [기능] - 송신자의 프로세스(프로그램)와 수진자의 프로세스를 연결 ( ex) 카톡 ↔ 카톡 ) - 신뢰성, 흐름제어, 다중화 서비스 제공 [포트번호의 특징] - 특정 프로세스(프로그램)가 사용하는 주소 - 하나의 포트번호는 하나의 프로그램만 사용 가능 (중복 불가) - 하나의 프로세스가 여러 포트번호 사용은 가능 [포트번호의 종류] 1. Well-Known 포트 - 전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는 서버들이 사용하는 포트 - 관습적인 것이라 절대적이지는 않으나 준수하는 것을 추천 서비스 이름 포트번호 FTP 20, 10 SSH 22 TELNET 23 DNS 53 DHCP 67, 68 TFTP 69 HTTP 80 HTTPS 443 2. Registered 포트 서비스 이름 포트번호.. 이전 1 2 3 4 다음